2) 상담
●상담기간
2007. 10. 26 ~ 2007. 11. 2 (총 2회기)
●목 표
모의 정신질환이 하나의 질병임을 깨닫고 정신질환과 모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.
가정 내에서 모와 함께 생활하면서 겪었던 문제들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아동의 스트레스, 죄책감, 분노 등의 심리·정서적 문제를 완화시킨다.
●상담과정
1회기(2007. 10. 26)
- 가족화 그리기를 통해 아동의 엄마에 대한 감정을 개방하는 계기를 마련함. 아동이 그린 가족화에서는 엄마와 아동의 거리가 아주 가깝게 밀착되어 있었고, 엄마는 아파서 누워있는 모습으로 그렸음.
- 아동이 보고 느꼈던 엄마의 모습과 평소 이상했던 엄마의 행동에 대해 이야기함.
- 아동은 모의 입원에 대해서 이야기하자 표정을 찡그리고 몸을 꼬면서 이야기를 피하려고 했음. 엄마의 병에 대해서‘엄마가 죽을 것 같아요’라면서 두려움과 불안감을 드러내었음.
- 엄마는 죽을병에 걸린 것이 아니라 감기에 걸린 것처럼 머리가 아파서 이상한 행동들을 한 것이라고 알려줌. 낫기 위해서 입원을 한 것이며, 병원 치료를 통해 좋아질 수 있는 병임을 인식시킴.
2회기(2007. 11. 1)
- 감정카드를 이용하여 엄마와 함께 지내면서 느꼈던 감정들에 대해서 이야기함.
- 아동은‘슬픈, 무서운, 시무룩한, 재미있는, 사랑하는’의 감정카드를 선택하였는데, 이는 모에 대한 양가감정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음.
- 아동이 선택한 감정을 느꼈던 상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면서, 그 감정을 느꼈을 때 어떻게 대처했는지를 살펴봄. 아동은 학교 친구나 친한 어른 없이 혼자 고립되어서 부정적인 감정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쌓아만 왔음.
- 가족 중 누군가가 아픈 경우 다른 가족들이 슬프고 힘든 것은 당연하다고 아동의 상황을 보편화시키고, 엄마와 살면서 힘들었던 마음에 대해 지지해 줌.
●평가
- 장기시설 전원 관계로 2회기의 짧은 상담이 이루어짐.
- 아동의 모에 대한 감정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기회를 제공했으며, 모의 질환에 대한설명을 통해 아동의 막연한 불안을 감소시켜 주었음.
- 심리검사 결과와 본 상담 내용을 토대로 장기시설에서 지속적인 상담과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요청하고자 함.
'아동학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Ⅳ. 현 상황 및 추후계획 (0) | 2022.08.21 |
---|---|
5. 아동학대 사후관리 (0) | 2022.08.19 |
3. 아동학대 서비스 계획 수립 (0) | 2022.08.14 |
3. 아동학대사례 (0) | 2022.08.12 |
■ 아동복지시설 교사의 학대 (0) | 2022.08.11 |